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층간소음으로 경찰 불렀는데, 법적으로 문제 될까?|이웃 분쟁과 대응 방법 정

by BLOGVIEW 2025. 4. 4.

아파트나 빌라에서 생활하다 보면 위층에서 들려오는 발소리, 가구 끄는 소리, 아이들 뛰는 소리 때문에 참기 힘든 순간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참다 못해 경찰에 신고하는 분들도 계신데요. 그렇다면 층간소음으로 경찰을 부르는 것이 과연 법적으로 문제 없는 행동일까요?
이 글에서는 층간소음 신고의 법적 근거, 경찰의 역할, 그리고 신고자의 법적 책임 여부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층간소음으로 경찰에 신고하는 아파트 주민의 모습

목차

1. 층간소음은 형사처벌 대상이 아닙니다

먼저 기억하셔야 할 점은, 층간소음은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즉, 일반적인 생활 소음 때문에 경찰이 위층 주민을 체포하거나 벌금을 매길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층간소음으로 분쟁이 발생했을 때 갈등 중재, 현장 확인, 감정 싸움 방지 등의 목적으로 경찰을 부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경찰은 ‘생활 민원’으로 분류하여 중재 수준에서 개입할 뿐, 법적으로 직접적인 제재는 하지 않습니다.

2. 경찰 신고, 과연 정당한가요?

결론부터 말하면 정당합니다.
단,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경찰 신고는 정당한 권리 행사로 인정됩니다.

  •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층간소음으로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겪고 있는 경우
  • 분쟁이 격해져 폭언, 위협, 폭행 우려가 있는 상황
  • 자력으로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하지만 소음 측정 없이 감정적으로 반복 신고하거나, 거짓 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신고자가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실제로 허위 신고로 간주되면 형법상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 방해죄 또는 경범죄처벌법 위반으로 처벌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경찰 대신 환경부 이웃사이센터 활용하기

실질적인 법적 분쟁이 아니라면, 국가 차원의 전문기관인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전문가가 직접 방문하여 소음 측정
  • 조정자 동행하여 이웃 간 갈등 중재
  • 결과 보고서 제공

📞 이웃사이센터 전화: 1661-2642
🔗 공식 홈페이지: https://www.noiseinfo.or.kr

4.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경우는?

일반적인 신고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 반복적으로 허위 신고하는 경우
  • 고의적으로 위층 사람을 비방하거나 협박하는 경우
  • SNS, 단톡방 등에 실명 공개하며 명예를 훼손한 경우
  • 경찰 출동 이후에도 폭언, 욕설, 고성 등을 지속한 경우

즉, 신고는 정당하더라도 신고 이후의 행동이 폭력적이거나 명예를 훼손한다면 역으로 고소당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층간소음 문제로 경찰을 부르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 되지 않으며 정당한 대응입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분쟁 조정의 수단일 뿐 강제력은 없기 때문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이웃사이센터 등의 제도적 방법과 대화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대가 악의적인 경우에는 법률 상담 후 민사소송이나 가처분 신청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살다 보면 층간소음 문제는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도, 가해자가 될 수도 있는 만큼, 합리적인 대응과 서로에 대한 배려가 가장 중요하겠죠.

참고 자료

  • 환경부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 경찰청 생활민원 대응 기준
  • 형법 제137조 (공무집행방해)
  • 경범죄처벌법 제3조 (거짓신고)